조현병
원인
조현병은 하나의 원인에 의한 단일 질환인지 아니면 여러 요인에 의해 야기되는 증후군인지 확실하지 않습니다.
또한 조현병이라는 질환을 규정짓는 경계조차 불분명한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 병이 뇌의 질환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의견이 일치되고 있지만 심리적, 사회적 요인 또한 발병과 경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는 이 질환의 원인과 병태생리가 매우 복합적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증상
정신분열병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증상들이 물론 있지만, 환자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은 상당한 차이가 있습니다. 정신분열병 증상에 대해 정밀하고 전문적인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1980년대 이후부터는 크게 양성 증상과 음성 증상으로 나누는 것에 대부분의 정신과 의사들이 동의합니다. 또한 이러한 분류에 따라 치료적 접근도 세분화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정신분열병은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흔한 병이며 그 어떤 병보다 가정과 사회에 부담을 주는 병입니다. 우리나라에도 약 50만 명 정도가 현재 정신분열병 환자이거나 앞으로 환자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됩니다. 그들의 가족을 4명씩으로 계산하면 적어도 2백만 명 이상이 정신분열병으로 인해 막대한 정신적, 신체적,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아직까지도 정신분열병의 완치는 어렵지만 지난 40년간 효과적인 치료방법들이 꾸준히 개발된 결과 이제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스스로 독립적으로 만족스런 삶을 영위할 정도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치료방법 조현병은 만성적인 경과를 밟고 재발을 잘 하는 병이므로 장기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약물방법 약물치료는 가장 기본적인 치료입니다.
조현병은 신경전달물질의 이상을 정상적으로 회복시켜주는 약물을 복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최근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비전형 항정신병 약물은 예전에 비해 부작용이 현저히 적어 투약을 유지하면서도 일상생활을 하는데 어려움이 적은 편입니다.
입원치료 증상으로 인해 자해, 자살 또는 타해의 위험성이 있거나 심한망상이나 환청을 보여 행동조절이 어려울 때는 반드시 정신과전문의와 상담 후 치료를 고려해보아야 합니다.